Прагматическое рассуждение
: 화용론적 추론
[추론의 삼단논법]
추론을 삼단논법으로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언어현상의 추론 방식과 또한 대부분의 문법화를 일으키는 추론은 귀류적 추론인데 인간의 언어뿐만 아니라 인간의 보편적인 문화 패턴을 형성하는 데에 귀류적 추론은 매우 중요하다. 실제로 인간의 언어는 매우 복잡하고, 단순한 정보에만 관심을 두는 것이 아니라 인간 감정의 섬세한 부분들도 고려 대상이며 또한 끊임없이 변하기 때문에 연역적 추론이나 귀납적 추론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사실상 귀류적 추론에 의해 재분석(повторный анализ)이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 문법화(грамматикализация)가 발생한다. 그런데 언어현상에서 귀류적 추론은 항상 연역적 추론과 귀납적 추론을 동반한다. 다시 말해 귀류적 추론을 귀납적 방식으로 계속 검증해나가고, 즉 귀류적 추론에서의 가설을 실제 데이터와 비교해보고, 또한 그 가설에 기초하여 새로운 발화를 계속함으로써 연역적 방식으로 언어를 사용한다. 이런 귀류적 추론에 의해 문법이 변한다.
[문법화에서 추론의 역할] 추론이 문법화에서 가지는 대표적인 역할은 문법소의 의미변화이다. 이러한 의미 변화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첫 단계에서는 한 어휘소나 문법소가 본래의 의미만을 가지고 있다. 다음 단계에서는 본래의 의미 이외에 다른 의미가 암시되어 있다. 청자는 이와 같이 암시된 의미가 그 언어 형태의 의미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게 되는 일이 반복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그와 같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던 암시적 의미가 마침내 실제 의미의 일부가 되어 버린다. 이러한 과정을 함축(импликатура)의 관습화, 혹은 함축의 규약화라고 한다. 이런 관습화를 화용적 강화(pragmatic strengthening) 혹은 문맥적 재해석(context-induced reinterpretation)라고도 한다(이성하, 1998: 248).
이런 변화는 처음에는 대화상의 함축이었다가 결국 실제 의미로 관습화되는 현상이 되는데 이로써 어휘소나 문법소의 의미에 첨가가 일어나게 된다. 이 때문에 이런 변화를 의미추가](семантизация)라고 한다. 엄격한 의미에서는 추론의 관습화에 의한 의미 추가만이 진정한 의미추가이다. 왜냐하면 은유에 의한 의미추가는 실제로 의미소실과 같은 것으로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이성하, 1998: 248).
[추론과 함축의 관계] 추론과 함축은 동전의 양면과 같은 관계이다. 화자는 자신이 한 말 이사응로 무언가를 함축하고 청자는 화자의 말에서 단언한 것 이상을 것을 추론한다. 추론과 함축은 대상을 보는 관점의 차이 즉 화자의 관점과 청자의 관점 차이 이상은 아니다. 추론이나 함축의 관습화를 문법화의 기제로 본 연구들은 많이 있는데 추론이 기계적으로 문법화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 추론이란 인간의 인지활동으로서 문맥과 상황, 개인적인 지식, 관련된 가정들에 많이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Sweetser(1988: 392)에서는 이런 측면을 강조하여 배경추론(фоновый вывод)란 용어를 사용한다. 이처럼 상황에 의해 추론된 함축은 원래의 의미와 병존하다가 때로는 그 문법소나 어휘소의 원래의 의미를 제치고 자신이 일차적 의미로 기능하기도 한다. 그런데 특정 어휘 의미에서 원래의 의미와 추론된 의미를 구별하는 것은 그리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화용적 추론과 의미 변화를 연결해주는 것은 바로 언어 사용자의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원래의 의미와 추론된 의미와의 합류(слияние)인데 이를 의미 견인이라고도 한다. 그런데 특정 언어형태가 자주 사용되면 추론이 점점 강화되면서 결국은 의미의 일부로 편입되기 때문에 추론의 관습화에는 사용빈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연관 표제어
재분석(повторный анализ), 문법화(грамматикализация), 함축(импликатура), 의미추가(семантизация)
참고자료
이성하. 『문법화의 이해』. 한국문화사. 1998.
Чигирь Л. Переход одной части речи в другую: Некоторые вопросы правописания. М.: URSS. 2010.
Heine B. Grammaticalization: A Conceptual Framework. Chicago/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Sweetser E. “Grammaticalization and Semantic Bleaching”, Berkeley Linguistics Society 14. 1988.